식품 위해분석(Risk analysis)의 정의
- 식품의 위해에 대한 다양한 대안 중 최적 관리방법을 선정하기 위해 체계화된 의사결정 체계
- 위해평가(Risk Assessment), 위해관리(Risk Management), 리스크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을 모두 포함
식품 위해평가(Risk assessment)
- 위험성확인, 위험성결정, 노출평가, 위해도결정의 4단계로 구성. 과학적, 전문적 지식과 정보를 근거로 위해요소 특성 규명
- 위험성확인: 물리화학생물학적 요소의 위해성 및 독성 확인
- 위험성결정: 용량 반응 평가
- 노출평가: 섭취 가능성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평가. 식품을 통해 섭취 추정치 판단(ex. 견과류의 곰팡이 등)
- 위해도결정: 특적 인구에서 발현 가능한 건강상의 잠재적 위해발생가능성을 포함하는 위해성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예측
식품 위해관리(Risk management)
- 식품 위해평가와 기능적으로 독립되어 있으며 위해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의사결정 및 결정 사항 시행
리스크 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
- 관련 집단의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정보 및 의견 교환 관련 모든 과정
식품 위해평가 관련 용어
- ADI (Acceptable daily intake): 한사람이 평생동안 매일 먹어도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는 하루 섭취 한도량(mg/kg 몸무게). 의도적 첨가물에 대한 기준이며 식품첨가물, 농약에 적용
- PTWI(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체내 축적과 대사기능에 의한 제거 능력 간 균형이 고려된 주당 섭취가능수준. 중금속과 같이 체내 축적이 유발되는 물질에 적용
- NOAEL(No observable adverse effect level): 최대 무독성량. 일정 값 이하에서 전혀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 섭취량. NOAEL에 종간차이 1/10, 사람간 차이 1/10 적용하여 계산한 것이 ADI
- TDI(Tolerable daily intake): 평생 섭취해도 건강상의 위험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양(mg/kg몸무게/day). 환경오염 물질 등과 같이 비의도적으로 식품에 첨가된 물질에 대한 기준
- ALARA(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사회적, 기술적, 공공정책적 이득과 손실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달성가능한 수준까지 노출량을 낮게 유지. 방사선 관리에서 처음 도입
- TMDI(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이론적 일일최대섭취량. 식품의 하루 섭취량과 식품의 잔류농약 기준치를 곱하여 얻는 그 농약의 하루당 섭취량(mg/person/day). TMDI가 ADI를 초과하지 않도록 잔류기준 설정
PLS(Positive list system): 잔류허용기준이 정해진 농약에 대해서만 기준규격에 따라 기준을 적용하고, 나머지 농약에 대해서 일정량 0.01ppm을 넘는 식품은 유통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