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od Act, Regulations, 식품법, 규정/6. 건강기능식품

(2)
건강기능식품 GMP 건강기능식품 GMP의 정의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의 약자로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교육/훈련 등 이의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 규정 인위적 과오 최소화, 제품의 오염 및 품질변화 방지, 고도의 품질 보증체계 확립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의 주요 내용 적용대상업소: GMP 적용 지정업소, GMP 적용 평가 대상업소 작업장 구획: 청정구역과 일반구역으로 분리, 정정구역은 공조시설을 설치, 특수작업장은 다른 작업장과 분리하여야 하며, 보관시설, 제조시설 및 품질관리 시설에 대하여 각각의 시설기준을 규정 제품표준서, 제조관리기준서, 제조위생관리기준서 및 품질관리 기준서를 작성/비치 GMP적용지정업소는 품질관리인을 GMP총..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 정의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을 의미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 조절, 생리학적 작용을 통해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 식품은 1차 영양기능, 2차 관능적 기능, 3차 생체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 절차 인정신청 (제조 수입업자) -> 인정 심사(식품의약품안전처) -> 인정처리(식품의약품안전처)로 이루어짐 인정신청에 구비해야할 서류는 다음과 같음 제출자료 전체의 총괄 요약본 기원, 개발경위, 국내외 인정 및 사용현황 등에 관한 자료 제조방법에 관한 자료 원료의 특성에 관한 자료 기능성분에 대한 규격 및 시험방법에 관한 자료 및 시험성적서 유해물질에 대한 규격 및 시험방법에 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