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od Science/1. Food Chemistry, 식품화학

(4)
3.1 유지의 자동 산화 정의 가열이 없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서서히 일어나는 유지의 산화 유지는 공기와의 접촉에서 산소를 흡수하고 산소는 유지를 산화시켜 산화생성물을 형성함 과정 유지의 산소흡수량과 속도는 처음 어느 일정기간 동안 매우 적으며 일정 소도를 유지함(유도기). 이후 유지의 산소흡수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유지의 산패가 발생함 유도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저장온도, 불포화도, 항산화제, 산화촉진제의 존재여부 등 a: 산소흡수량, b: 과산화물(일차생성), c: 2,3차 생성물, d: 점도변화 유지의 자동산화 기전은 초기-연쇄-종결로 이어짐 초기 반응: 자유기(Free radical) 형성. 유지분자 등이 가열 에너지, 기계적 에너지, 광 에너지 등에 의해 활성화 되어 분자내 공유결함 전자쌍..
3. 식품의 지방, 유지 식용유지(Edible lipid, fat and oils) 튀김유, 샐러드유 등 식용 가능 유지류의 총칭. 우리나라 식품공저에서는 19종으로 분류 식물성: 대두유, 유채유, 참기름 등 동물성: 돈지, 우지 등 산가(Acid value) 지질에 함유된 유리 지방산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 기름이 산화될 때 분해되어 생기는 지방산 유지 1g 중에 있는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KOH의 mg 수 유지의 산가가 높은 것은 변질된 것으로, 오래되거나 가열 시 분해되어 산가가 높아짐 식용유로 사용하기 위한 산가는 1.0 이하, 유탕 빵류 2, 유탕 어묵 등 어육가공품은 5 이하 *삼양라면의 공업용 우지라면사건은 "산가 0.4의 우지"를 라면의 튀김유로 사용하여, 당시 식품공전 상 기준인 0.3 이하를 위반한 사..
2. 식품 단백질
1. 식품의 탄수화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