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의 정의 (식중독과 장염의 차이)
- 식품의 섭취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감염형 또는 독소형(식품위생법 제2조 제14호)
- 집단식중독: 식품 섭취로 인하여 2인 이상의 사람에서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일으킨 겨우
- 장염: 소장이나 대장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하며 대부분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고 유사하여 식중독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
식중독의 구분 (미생물과 화학물질)
- 미생물 - 세균성 (독소형/감염형), 바이러스성
- 화학물질 - 자연독(동물성, 식물성, 곰팡이), 인공화합물
세균성 식중독의 분류
바이러스성 식중독
- 바이러스는 동물, 식물, 세균 등 살아 있는 세포에 기생하는 미생물임
- 크기가 매우 작아 일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없고, 세균 여과기에 제거되지 않으며 일부 바이러스가 식중독을 유발
- 식중독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임
- 노로바이러스는 물을 통해 전염되고(오염된 지하수) 2차 감염이 흔하여 집단적 발별
-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에게 겨울철 설사 질환을 일으킴
- 최근 위생 관념이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지며 부패한 음식에 대한 세균성 식중독보다 바이러스 식중독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위생지표균 사용 이유
- 식품가공과정에서 병원균과 유사하게 생존가능
-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검출 가능
- 소량으로도 검출 가능
- 호기적인 조건에성 성장 양호
- 간단한 방법으로 다른균과 구별 가능
'Food Science > 4. Food Microbiology, 식품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미생물의 상호작용 (0) | 2022.12.15 |
---|---|
2. 미생물의 증식곡선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