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od Issue, 식품산업이슈

GMO

우리나라 GMO 현황
  • 우리나라 2020년 식품용과 농업(사료)용 수입 승인 GMO는 약 1197만t (대부분 옥수수와 콩)
  • 옥수수는 주로 가축용 사료, 콩은 주료 식용유와 같은 기름(간접 섭취)
  • GMO 위해성 심사는 총괄부처(산업통상자원부)+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환경부(국립생태원), 해양수산부(국립수산과학원)의 5개 부서 별로 별도 심사
  • 우리나라 2001년 3월부터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에 근거해 공, 옥수수, 콩나물, 감자에 대한 GMO 표시제 시행 중
  • 우리나라 식품용 승인 GM농산물은 7작물 콩, 옥수수, 면화, 카놀라, 알팔파, 사탕무(감자는 상업적 생산 중단)

 

 

GMO 찬성 의견
  • 한국의 식량 자급률은 2021년 40.5%, 곡물자급률은 18.5%, 기후변화, 팬데믹 등 식량 안보 위기감 증가
  • GMO 곡물 수입의 대안이 없음. 4대 곡물 생산국의 90% 이상이 GMO 재배. 세계 종자 규모의 약 47.7%가 GMO 종자
  • 예) 제초제 저항성 잔디는 1년에 6~7회 제초제를 2회로 줄여줘 환경 보호, 인건비, 경비 절감
  • 먹지 않는 잔디도 14년째 보류중인데 먹는 것은 꿈도 못꿈
  • GMO는 생명공학적으로 한 생명체에 외부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주입해 새로운 형질을 나타나게 하는 것
  • 전통 방식인 교배육종, 방사선, 화학물질, UV 등 도 유전자 변형을 일으킴

 

유전자 가위(크리스퍼 카스 나인)
  • 외부 유전자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세포가 가지고 있던 특정 유전자를 잘나래 염기 서열 일부를 바꾸는 기술
  • 이때 사용하는 분자 가위 중 가장 최신이 'CRISPR-Cas9'임 -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
  • GMO는 최종 산물에 외래 유전자가 남음 
  • 유전자 가위는 극소수 염기만 제거하여 자연 발생 돌연변이와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움
  • 땅콩의 알레르겐 유전자 잘라낸 품종, 아미노산 성분 높인 토마토(일본 시판 승인) 등

'Food Issue, 식품산업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키니 호박, 무엇이 문제일까  (0)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