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농축의 정의
- 용액의 자유수를 가열, 증발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여 용액의 농도를 높이는 단위조작
식품 농축의 목적
- 예비 농축을 통한 무게, 부피 감소
- 수분함량 저하로 미생물 증식 억제
- 농도를 증가시켜 사용자 편의성 부여(보관, 저장, 물류 용이)
식품 농축의 방법
- 증발농축: 수증기
- 증발농축은 수분을 제거하는 점에서 건조와 유사하나 최종산물이 액체임
- 용매를 증기화시켜 제거하고 남은 액체 성분을 얻음
- 다량의 열에너지를 소모하며 물보다 휘발성이 강한 향기물질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음(불쾌한 냄새의 경우 품질향상)
- 온도상승으로 인한 갈변, 색소파괴, 영양소 파괴
- 진공농축: 수증기
- 4.6mmHg 이하의 낮은 기압 조건에서는 끓는점이 내려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액체가 기화되며 농축 됨
- 가열농축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므로 열에 의한 영양소 파괴 및 단백질 변성이 적음
- 동결농축: 고체
- 액체식품에서 용액을 동결시킬 때, 공융점(eutectic point) 이하에서는 순수한 용매만 얼음결정을 형성함. 결정을 체 또는 원심분리기를 통해 제거하여 농축
- 성분의 변화 없이 수분만 제거하는 이상적인 방법
- 공융점은 순수한 물만이 얼음으로 결정화되는 구간을 지나 고형분과 함께 결정화되는 온도와 농도 지점을 뜻함
- 한가지 용매에 한가지 성분만이 용해되어 있는 이원혼합물로 가정하는 한계 존재
- 공융온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면 고형분의 손실 발생하므로 냉동농축은 공융점에 도달하기 전에 중지
장점 | 단점 |
비가열 방법으로 영양성분의 파괴, 화학반응 없음 | 고가의 장치 설비비 |
휘발성 향기성분의 손실이 없어 관능품질 유지 | 설비 운영비가 높음 |
열에 민감한 식품의 농축에 적합 | 전문적인 운영요원 필요 |
증발 농축에 비해 농축효율이 낮고(40%) 농축 시간이 김 |
- 막분리 농축: 액체
- 물만 통과할 수 있는 반투과성 막을 통해 용액에 압력을 가하면 막을 통과하여 물만 분리되므로 용액의 농도 증가
- 막의 종류에 따라 특정성분 분리 가능
장점 | 단점 |
색소의 분리 및 식품 갈변 방지 | 고가의 설비 필요 |
식품의 영양 및 향미성분 유지 | 30% 이상의 농축 어려움 |
가열취 발생 감소 | 막의 오염 형성 및 세척 공정 필요 |
여과막에 의한 미생물 제균 가능 |
구분 | 정밀여과(MF) | 한외여과(UF) | 나노여과(NF) | 역삼투여과(RO) |
기능 | 고체입자 분리 | 큰 용질 분리 | 큰 분자 분리 | 용매 용질 완전 분리 |
압력 | 1기압 | 1~10기압 | 10~15기압 | 30~100기압 |
제거대상물 | 현탁물질, 세균 | 세균, 단백질, 바이러스 | 락토즈, 다가이온 | 염소 등 일가이온 |
응용기술 | 와인 무균여과 무균수 제조 |
무균수 제조 혈액 여과 |
우유에서 락토즈 제거 | 음료 공정의 정제수 노로바이러스 제거 탈염 해양심층수 |
증발설비의 고려사항
- 증발능력
- 증발효율(증발 후 최종 고형분의 농도)
- 농축원료의 열 민감도
- 증발 중 휘발된 성분의 회수 여부
- 세척의 용이성
- 설비가격과 운전비용 등
증발 농축 시 고려사항
- 진공압력
- 용액의 끓는점은 순수한 물보다 높기 때문에 농축이 진행될수록 용액의 끓는점 상승으로 제품의 열변성 발생
-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조건에서 끓는점을 낮추서 열변성 방지
- 진공기의 종류는 rotary vane pump, piston pump, diaphragm pump 등이 있음
- 거품발생: 용매에서 발생하는 거품은 수분의 증발을 방해하므로 거픔제거장치나 소포제를 사용
- 점도상승: 점도 증가 시 열전달 속도, 순환속도 감소, 강제 순환장치를 성치하여 순환속도 증가 가능
- 관석 형성: 높은 점도에 따른 관 내부의 관석 형성 발생. 주기적인 내부 CIP 진행 및 순환속도를 높이기 위한 펌프 설치
- 비말동반: 증발 증기 중에 고형분이 포함되어 농축액 손실 발생 가능. 방해판 설치하여 비말동반 제어
'Food Science > 2. Food Processing, 식품가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의 냉동 (1) | 2023.02.03 |
---|---|
식품의 추출 (0) | 2023.02.03 |
식품의 분무건조 (0) | 2023.02.02 |
식품의 동결건조 (0) | 2023.02.02 |
식품의 건조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