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품질과 안전
식품이란 의약품을 제외한 음식물 식품의 품질은 품질의 정의: 제품이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는지 결정할 때, 평가의 대상이 되는 고유의 성질 식품의 품질: 외관(크기, 형태, 색), 향미, 텍스처, 영양 등을 의미. 소비자들이 식품을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는 제품의 경쟁력. 소비자에게 위해를 끼치지 않음. 식품의 안전은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 포장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이 섭취하는 식품의 위해성을 제거하여 예방하는 것 즉, 품질의 낮고 높은 것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음. 하지만, 안전은 소비자들에게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법규로 규정하여 관리
GMO
우리나라 GMO 현황 우리나라 2020년 식품용과 농업(사료)용 수입 승인 GMO는 약 1197만t (대부분 옥수수와 콩) 옥수수는 주로 가축용 사료, 콩은 주료 식용유와 같은 기름(간접 섭취) GMO 위해성 심사는 총괄부처(산업통상자원부)+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환경부(국립생태원), 해양수산부(국립수산과학원)의 5개 부서 별로 별도 심사 우리나라 2001년 3월부터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에 근거해 공, 옥수수, 콩나물, 감자에 대한 GMO 표시제 시행 중 우리나라 식품용 승인 GM농산물은 7작물 콩, 옥수수, 면화, 카놀라, 알팔파, 사탕무(감자는 상업적 생산 중단) GMO 찬성 의견 한국의 식량 자급률은 2021년 40.5%, 곡물자급률은 18.5%, 기후변화, 팬데믹 ..
식품의 색도, Lab
CIE Lab 색채체계 국제조명위원회에서 규정한 CIE 색공간은 표준관측자(standard observer)에 의해 우리 눈이 감지할 수 있는 색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식을 개발하여 식제 표색에 사용한 것임 CIE Lab는 균일한 색공간 좌표로, 인간의 눈과 매우 근사한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표준화 되어 있는 색공간임 CIE Lab 색좌표 표시 CIE에서의 색좌표는 L*, a*, b*로 표시 L*: 명도, Lightness, 흰검(흰색, 검은색), a*: Red(+)와 Green(-) 정도, 적녹(빨간색 - 녹색) b*: Yellow(+)와 Blue(-) 정도, 황청(노란색 - 파란색) 예) a* 80은 a*50보다 더 붉게 보임. b*50은 b*20 보다 노랗게 보임 색의 차이, 색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