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6)
식품개발과정,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정리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챙겨야 할 내용들을 요약해보았습니다.복잡해보이지만, 간단하게 아래 6가지의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시장조사를 통한 신제품 Ideation => 신제품 제안서2. 신제품 컨셉 개발 => 컨셉 개발 보고서3. 프로토타입 개발 => 프로토타입4. 제품 개발 => 제조지시서5. 생산 => 완제품6. 출시 => 출시완료보고서 조금 더 자세한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하나하나 항목에 대해서 정리는 하겠지만, 언제 다 정리할지는 모르겠네요.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1. New product Ideation (PM) 가. 시장 조사: 국내외 시장조사, 트렌드 분석, 시장 수요 분석 등 나. 소비자 조사: 소비자 니즈 파악, 이해, 인터뷰 등 다. 제품 조사: 경쟁..
식품기술사가 되다 식품기술사협회에 가입하다 지난 11월 11일 한국식품기술사 협회에 가입하고 신입회원 환영회에 다녀왔습니다. 사실 합격 발표는 조금 더 일찍하였지만, 실제 식품기술사로서의 활동을 위해서 협회에도 가입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회원증도 받았구요. 뱃지도 하나 받아서 달았습니다.. 임시총회라서 몇가지 안건이 있었고 많은 환영을 받았습니다. 식품기술사란?식품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대한민국 최고의 국가기술자격증, 국가기술자격의 등급에서 최상위급식품기술사 응시자격 식품기술사는 식품에 관련하여 이론과 실무를 모두 인정받은 전문가입니다.저는 식품공학과 졸업, 석사 졸업, 박사 수료, 실무경력 등 모든 응시자격 요건을 갖추고 시험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식품기술사 시험 준비 및 과정은 추후 정리하여..
28개월 아기 꿀잠 재우기 프로젝트 제 딸은 28개월입니다. (2021년 8월 17일이 생일)그런데 너무 안자요. 28개월 딸의 수면 패턴 분석 아침: 6시 30분 ~ 7시 30분 사이에 기상점심: 낮잠 1시간 ~ 1시간 30분취침 준비: 9시 형광등 소등 및 미등 켜기취침 시작: 9시 30분 온가족이 함께 취침 시작, 30분에서 1시간 뒤척이다 잠에 듦아침 : 6시 30분 ~ 7시 30분 사이에 기상 반복하루 취침시간 약 8 ~ 9시간*미국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에 의하면, 보편적인 수면 필요량은 아래와 같으므로, 2시간 정도 더 자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신생아(0~3개월): 14~17시간유아(4~11개월): 12~15시간아기(12~24개월): 11~14시간미취학아동(3~5살): 10~13시간취학아..
식품의 품질과 안전 식품이란 의약품을 제외한 음식물 식품의 품질은 품질의 정의: 제품이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는지 결정할 때, 평가의 대상이 되는 고유의 성질 식품의 품질: 외관(크기, 형태, 색), 향미, 텍스처, 영양 등을 의미. 소비자들이 식품을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는 제품의 경쟁력. 소비자에게 위해를 끼치지 않음. 식품의 안전은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 포장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이 섭취하는 식품의 위해성을 제거하여 예방하는 것 즉, 품질의 낮고 높은 것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음. 하지만, 안전은 소비자들에게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법규로 규정하여 관리
QC, QA, QM의 차이 QC (Quality control): 품질관리, 기본적인 제품 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관리 QA (Quality assurance): 품질보증, 품질의 질을 체계적으로 평가, QC를 포함한 system 관리 QM (Quality management): 품질경영, QC와 QC의 종합적인 의미. 품질경영은 종합적인 품질을 문제로 삼는 전반적인 경영임. 품질관리기법과 시스템, 사람의 3요소가 톱니바퀴처럼 움직이게 하기 위한 경영체계 SQC (Statistical quality control): 통계적 방법을 응용하여 실시하는 품질관리 TQC (Total quality control): 전사적 품질관리. 통계학적인 것이 주 방법론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조직적이며 관리론적인 ..
GMO 우리나라 GMO 현황 우리나라 2020년 식품용과 농업(사료)용 수입 승인 GMO는 약 1197만t (대부분 옥수수와 콩) 옥수수는 주로 가축용 사료, 콩은 주료 식용유와 같은 기름(간접 섭취) GMO 위해성 심사는 총괄부처(산업통상자원부)+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환경부(국립생태원), 해양수산부(국립수산과학원)의 5개 부서 별로 별도 심사 우리나라 2001년 3월부터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에 근거해 공, 옥수수, 콩나물, 감자에 대한 GMO 표시제 시행 중 우리나라 식품용 승인 GM농산물은 7작물 콩, 옥수수, 면화, 카놀라, 알팔파, 사탕무(감자는 상업적 생산 중단) GMO 찬성 의견 한국의 식량 자급률은 2021년 40.5%, 곡물자급률은 18.5%, 기후변화, 팬데믹 ..
주키니 호박, 무엇이 문제일까 미승인 LMO 주키니호박 이란? LMO(Living Modified Organisms)는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 변형 생물체 중에서 생명력이 있고 번식력이 있는 종류를 칭함 어떻게 이런일이 발생했을까? 2015년 이전부터 국내에 유통, 즉 8년이상 미승인 LMO 주키니 호박이 유통(홍익바이오의 '가야금', '대금' 종자) 온라인몰에서 구입하여 국제우편으로 종자 들여옴 검역시스템 미작동 육안으로 식별 불가, PCR 검사를 통해서 가능 왜 LMO를 사용했을까? 시설재배(하우스)를 하는 작물은 습도조절을 잘못하여 병충해에 걸리기 쉬움. 특히 흰가루병이라는 곰팡이병이 문제임 LMO주키니는 흰가루병에 강하게 육성된 품종. 즉, 내병성이 강함 예상되는 문제는? GMO..
식품의 색도, Lab CIE Lab 색채체계 국제조명위원회에서 규정한 CIE 색공간은 표준관측자(standard observer)에 의해 우리 눈이 감지할 수 있는 색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식을 개발하여 식제 표색에 사용한 것임 CIE Lab는 균일한 색공간 좌표로, 인간의 눈과 매우 근사한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표준화 되어 있는 색공간임 CIE Lab 색좌표 표시 CIE에서의 색좌표는 L*, a*, b*로 표시 L*: 명도, Lightness, 흰검(흰색, 검은색), a*: Red(+)와 Green(-) 정도, 적녹(빨간색 - 녹색) b*: Yellow(+)와 Blue(-) 정도, 황청(노란색 - 파란색) 예) a* 80은 a*50보다 더 붉게 보임. b*50은 b*20 보다 노랗게 보임 색의 차이, 색차(..